아르동은 텍스트에서 시작해 다양한 기술과 매체를 거쳐 현실을 재구축하려는 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단편 소설에서 시작해 사운드, 그래픽, 비디오, 퍼포먼스를 결합한 1인 프로덕션 작업 그리고 작품과의 인터랙션을 위해 게임의 형식으로 이어지는 작업은 장르와 형식에 대한 실험이자 현실에 놓일 작업이 얼마나 유효할지에 대한 끊임없는 질문이다.
아르동, Too Much Play, mixed media, game, single channel video , 2018
2)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도구는 무엇인가? 모바일 디바이스, 키보드 입력, AR 카메라
‘Idiot Map’은 관객이 QR 코드를 통해 웹사이트로 접근하여 자신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플레이하는 게임이다. 관객은 자신의 캐릭터를 조작하며 전시 공간인 스페이스 캔을 탐험하는데, 실제로 전시를 관람하는 동시에, 전시장 지도 위에서 게임이 주는 과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게임을 기획했다. 8bit 스타일 개발 도구인 Pico-8으로 개발한 이 게임은 전시 공간의 1층과 2층, 옥상 그리고 계단을 2D 평면으로 옮긴 뒤, 전시 참여 작가들의 작업이 있는 곳이나 전시 기간 내 이벤트가 일어나는 곳에 보물 상자 모양의 오브제를 두었다. 관객이 조작하는 캐릭터는 이 상자들에 닿아 상자를 여는 인터랙션을 할 수 있는데, 전시장의 오브제와 인터랙션 할수록 피로도가 증가해 10이 되면 게임이 끝난다.
아르동, Idiot Map, 8bit game, 2018
‘기계식 소설’은 타이핑에 대한 메타포를 다룬 게임이다. 키보드의 키로 입력되는 무수한 텍스트들의 이면을 그려보기 위해서 기계식 키보드의 내부를 Unity 3D로 구현했다. 사실적인 3D 모델링으로 현실을 재현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초현실적인 표현까지 가능한 게임을 만들어보고 싶었다. 이에 따라 키캡, 스프링, 입력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기계식 키보드의 키 모델을 만들고, 키 캡이 눌려 스프링이 압축되고 입력 스위치가 움직이는 짧은 애니메이션을 만들었다. 2단계의 레이어로 구성된 이 게임은 인트로 화면에서 SPACE + 8 커맨드를 통해 1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SPACE + 8이라는 생소한 커맨드를 쓴 이유는 키보드의 여러 키를 눌러보게끔 유도하려 했기 때문이다. 게임 시작 시 60초 카운트다운이 시작되어 0초가 되면 게임은 종료된다. 1단계에서 키보드 입력키(anykey 커맨드)에 따라 텍스트와 애니메이션, 사운드 효과를 경험하며 조작을 시도해본다. 2단계 ‘키보드의 세계’를 1인칭 시점으로 탐험(W(↑) A(←) S(→) D(↓) 커맨드)할 수 있도록 게임의 레벨을 디자인했다. 플레이어(관객)를 ‘키보드의 세계’로 이끌기 위해서, 키보드 각각의 키와 게임 속 키보드 키 오브제들을 1대1로 맵핑했다. 플레이어가 하나의 키를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오브제의 애니메이션 효과와 사운드 효과가 실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플레이어가 입력하는 키 조합에 따라 화면의 그래픽, 사운드가 변화하게 된다.
아르동, 기계식 소설, game, 2018
기계식 소설, 기계식 키보드의 청축
기계식 소설, 인게임에서 키보드의 모습
기계식 소설, 키보드 키 오브젝트를 변형하여 만든
‘키보드의 세계’ 속 오브젝트
기계식 소설, 인게임에서 오브젝트의 모습
기계식 소설, 전시공간인 스페이스캔(2층과 테라스)과 ‘키보드의 세계’의 연결 부분. 실제로 플레이어는 스페이스캔 2층에서 [기계식 소설]을 플레이하는데 이곳에서 게임 2단계가 시작된다.
기계식 소설, 인게임에서 오브젝트의 모습
전시 공간 옥상을 무대로 진행되는 AR 영상 ‘옥외광고문의’는 대형 건물 옥상에 설치된 광고문의 간판과 그것을 지나쳐간 텍스트들을 상상하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로 구현한 짧은 이야기이다. Unity 3D로 모델링 된 각각의 텍스트 오브제를 이야기 순서대로 AR 공간에 배치시키고 모바일 디바이스 카메라의 동선에 따라 오브제가 나타나도록 만들었다. 이 작업은 다른 작업과 다르게 작가가 플레이어가 되어 AR 카메라를 조작하면서 사전에 진행한 게임 녹화 영상을 설치해 관객들이 관람하게 했다.
아르동, 옥외광고문의, AR, single channel video, 2018
옥외광고문의, 오브제를 이야기 순서대로 모델링했다.
옥외광고문의, 전시 공간 환경에 맞게 맵핑된 오브제들
옥외광고문의, AR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하는 모습
옥외광고문의, 옥외광고문의 플레이 화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