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Gardening
새로운 질서: 인터넷과 웹, HTML 등을 중심으로 _ 민구홍
새로운 질서: 인터넷과 웹, HTML 등을 중심으로
인터넷 아트를 포함한 넓은 의미에서 웹사이트를 만드는 일은 컴퓨터 언어를 도구 삼아 데이터에 새로운 질서를 부여해 유의미한 정보로 탈바꿈시키는 일이다.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자 겸 『새로운 질서』 저자 민구홍이 약 두 시간 반 동안 인터넷과 웹의 약사(略史), 새로운 질서를 부여하기 전에 견지할 태도, 그리고 “웹 그 자체”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 본 워크숍은 강연과 실습으로 진행됩니다.강사: 민구홍 (<새로운 질서> 저자, 민구홍 매뉴팩처링 운영자)
민구홍은 안그라픽스를 거쳐 워크룸에서 편집자로 일하며 ‘실용 총서’ 등을 기획한 한편, 민구홍 매뉴팩처링(Min Guhong Manufacturing)을 운영한다. 국민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파주타이포그라피배곳, 워크룸, 취미가, 홍익대학교 등에서 넓게는 인터넷과 웹, 좁게는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가르쳤거나 가르친다.
온라인 가상공간 메이킹 _ 박동준
온라인의 가상 공간 메이킹
이번 워크숍 '온라인의 가상 공간 메이킹'은 VR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지식을 익히고, 웹 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툴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VR 공간을 제작한다. Equirectangular(등장방형도법)을 이용하여 VR을 제작하는 Google Tour Creator 와 이번 아르스 일렉트로니카가 주요 소통 플랫폼으로 채택한 가상 커뮤니티 공간 Mozilla Hub를 이용하여 웹에서의 가상 공간 제작을 경험하고, VR 제작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본 워크숍은 실습으로 진행됩니다.
- https://arvr.google.com/tourcreator/
- https://hubs.mozilla.com/강사: 박동준 (VR 미디어 아티스트)
박동준 작가는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사진 매체를 이용하여 개인의 기억에서 나아가 공공의 기억으로 확장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미디어 아티스트이다. 2018년 을지로 세운청계상가에 위치한 '공;간극'에서 첫 번째 개인전을 가졌으며 현재 웹과 VR을 이용해 구축한 가상의 전시 공간이자 아카이브 프로젝트인 'Archiving Babel(아카이빙 바벨)'을 운영 중이다.
개인의 소리인지 특성을 반영한 웹-전자악기 메이킹 _ 이원우
개인의 소리인지 특성을 반영한 웹-전자악기 메이킹
작곡가 이원우는 <와우-로그>를 통해 개인의 소리 인지 특성을 반영한 전자악기를 창작하고 연주하였다. 이번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연계 워크숍 '개인의 소리인지 특성을 반영한 웹-전자악기 메이킹'은 개인에게 한정되었던 전자악기 <와우-로그>를 웹으로 확장하여 웹을 통해 서로 다른 사람의 소리 인지 특성을 확인하고 함께 연주하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워크숍의 전반부는 Max8으로 <와우-로그>의 알고리즘을 일부 재현하고, 개인의 소리 인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FM 소리합성의 설계가 이뤄진다. 워크숍의 후반부는 node.js를 활용하여 <와우-로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작동되도록 설계하고 웹으로의 확장을 도모한다. * 본 워크숍은 실습으로 진행됩니다.
- 교육대상자 : Max8 사용 유경험자
- 사전준비:
(1) Max8 설치 필요. 하위 버전 사용 불가능
(2) https://cycling74.com/downloads 에서 Max8 무료 다운로드 및 30일 사용 가능
(3) Mac 사용 권장강사: 이원우 WONWOORI (미디어 아티스트, 작곡가)
작곡가 이원우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인간의 가치와 가능성을 이끌어내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인공와우(CI)를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전자악기 개발, 시각 장애인을 위한 합주용 보조장치 활용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간의 뇌가 표출하는 데이터에 매료되어 뇌전도 데이터의 창의적 예술화에 매진하고 있다.
‘플레이 Play’의 무게에 대하여: 게임 역사를 통해 살펴보는 게임의 문화예술적 의미와 가능성 _ 허대찬
‘플레이 Play’의 무게에 대하여: 게임 역사를 통해 살펴보는 게임의 문화예술적 의미와 가능성
게임에서의 ‘play’라는 행위는 어떠한 특정한 단어 하나로 번역하기 어려운 말이다. 플레이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게임에서 화면을 바라보며 플레이어가 행하는 어떠한 선택과 판단, 그리고 이를 실행하는 신체적·정신적 행위, 나아가 다른 사람이 플레이하는 것을 시청하는 그 모두를 함께 아우른다. 이번 자리에서는 이 ‘플레이’가 어떠한 의미와 맥락을 확보하며 확장되었는지 게임의 역사와 함께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게임이 가질 수 있는 문화적 의미와 가능성을 타진하며 함께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려 한다.
* 본 워크숍은 강연으로 진행됩니다.강사: 허대찬 (앨리스온 디렉터, 제주창의예술랩 과학기술랩장)
기술과 미디어로 조성된 오늘날의 환경과 그 안에서의 인간 활동에 관심을 두고 있다. 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의 편집장, 게임연구콜렉티브 더플레이 선임연구원, 제주창의예술교육랩 과학랩장으로 활동하며 미디어 아트와 디자인, 기술문화에 관련된 전시와 행사, 교육과 그에 대한 연계프로젝트를 기획, 진행중이다.
유니티를 활용한 온라인 인터랙션 사운드 _ 김은지
유니티를 활용한 온라인 인터랙션 사운드
워크숍 '유니티를 활용한 온라인 인터랙션 사운드'는 게임 제작을 위한 기본 지식인 게임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오브젝트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일종인 게임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게임이 성립하려면 어떤 장르적 특성을 갖춰야 하는지 알아본다. 특히, 게임 오브젝트가 가질 수 있는 property, method를 음악을 구성하는 요소와 연결하는 방법에 주목한다. 유니티 엔진을 활용해 게임 안의 파라메터를 음악의 변화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예제를 통해 살펴본다.
* 본 워크숍은 실습으로 진행됩니다. 듀얼모니터가 있으면 실습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교육대상자: 유니티 유경험자
- 사전준비:
(1) 유니티 2019.4.8.1f 버전 설치 https://store.unity.com/kr/download-nuo
(2)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 https://visualstudio.microsoft.com/ko/downloads/강사: 김은지 (미디어 아티스트)
연세대학교에서 작곡을 전공하고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음악테크놀러지를 전공하며 음악이 표현할 수 있는 세계를 자신의 방식대로 확장해왔다. 헤이그 왕립예술원에서 Sonology를 공부하며 알고리즘 작곡이 게임과 어떻게 결합할 수 있을지 연구했다. 게임과 음악을 오브젝트라는 개념으로 풀어내고 게임 시스템을 알고리즘으로 활용하여 게임 플레이가 곧 음악이 되는 것을 추구한다.
웹을 활용한 게임 메이킹 _ 김영주
웹을 활용한 게임 메이킹
웹에서 게임을 만들고 놀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해보는 워크숍이다. 혼자 만들 수 있는 HTML 기반의 다양한 게임 메이킹 툴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경험이 없이도 실시간으로 함께 게임을 만들어 놀 수 있는 방법을 실험해 본다. * 본 워크숍은 실습으로 진행됩니다.강사: 김영주 (게임디자이너, 미디어 아티스트)
서울과 쾰른을 오가며 활동하고 있는 김영주는 게임 디자이너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이다. 게임과 인터랙티브 아트의 접점에서 다양한 게임 매커닉의 실험을 기반으로 작품을 구현한다. 김영주는 대안적 게임 제작과 공유를 위한 플랫폼을 만드는 것에도 관심을 두고 새로운 표현 매체로서의 게임을 만들고 있다. 현재 조호연과 룹앤테일 스튜디오를 함께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