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Ars Electronica Garden SEOUL

서드라이프의 정원 

GARDEN OF THIRD LIFE

Ars Electronica Garden Seoul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오스트리아 린츠)에 초청받아 본교 교수진과 출신 학생들의 융합예술 작품을 선보입니다.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올해의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은, 오스트리아 린츠에 결집하는 대신, 수십여 개의 참여기관이 각 지역에서 '정원'이란 공통 주제로 이벤트를 마련하고, 이를 온라인으로 연결하는, 일종의 '디지털 여행사'를 마련하였습니다. 이에 한국예술종합학교는 한국의 대표도시인 서울의 자연과 사회, 그리고 이를 연결하는 기술적 환경을 총체적 '정원'으로 상정하고, 현실(First Life)과 가상(Second Life)이 중첩된 '서드라이프(Third Life)'의 미래에서 우리는 어떤 정원을 가꾸어갈 것인지에 대한 화두를 던집니다. 





Garden of Third Life

총괄 :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기획처장,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 교수)

20세기 말 한국에서 도시들은 두 개의 서로 다른 공간으로 채워졌다. 하나는 도시들이 대부분 아파트먼트 중심의 거주형태로 변모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초고속 정보망과 디지털 장치들이 도시 공간에 깔리면서 온라인 공간 안에서 독특한 커뮤니티 문화가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전자는 매우 집합적이고 물리적인 세계를 형성했다면, 후자는 매우 분산적이고 가상적인 세계를 형성했다. 세계의 많은 도시들도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특히 한국의 대도시들은 이러한 타이트하고 물리적인 삶과 유연하고 가상적인 삶의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 미래 세계 스마트 도시로의 이행은 서로 다른 두 공간의 상호작용의 극적인 유토피아를 꿈꾼다. 그리고 우리는 지금 코비드19 팬데믹의 시간 속에 살고 있다.

“서드라이프의 정원”은 장기 지속 팬데믹의 시간으로 이행하는 일상의 삶을 탐구하는 실질적이고 은유적인 개념이다. ‘서드라이프(Third Life)’는 말 그대로 제3의 삶의 시대가 왔다는 것을 함축한다. 현실공간에서 물리적인 삶이 ‘퍼스트라이프(First Life)’라고 한다면, 가상공간에서 허구적 삶은 ‘세컨드라이프(Second Life)’로 명명할 수 있다. 서드라이프는 현실 공간과 가상공간이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그 경계가 무너지고, 현실 속 가상과 가상 속 현실이 서로 교차하는 새로운 삶의 라이프스타일을 의미한다. VR, AR, AI, 홀로그램, IOT와 같은 새로운 첨단 기술들이 우리를 서드라이프의 세계로 초대한다.

서드라이프는 생태와 기술의 숙명적 대화와 피할 수 없는 공존의 시대가 왔음을 강조한다. 재난자본주의, 위험사회, 인류세와 팬데믹 시대에서 우리는 생태적 상상력 없는 기술적 진보만으로는 새로운 인류의 삶을 찾을 수 없다. 마찬가지로 기술적 진보 없는 생태적 상상력만으로는 로빈슨 크루소의 외로운 삶을 선택하거나, 거대한 인류의 소비주의 탐욕을 막을 수 없다. ‘서드라이프의 정원’은 그런 점에서 미래 인류의 삶의 생태적, 기술적 성찰을 담은 실질적이면서 은유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한국예술종합학교는 미래의 인간 생태를 상상하는 실용적이고 은유적인 개념으로서 '서드라이프의 정원'이라는 주제를 제시하면서 동시에 기술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시도한다.





ON/OFF PROGRAMS

기획/운영 :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 아트콜라이더랩(이다영 사업기획팀 연구원, 윤하나 해외교류 프로젝트 매니저)

이번 해외교류 프로젝트의 프로그램은 ON-Line과 OFF-Line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글로벌 교류 연계를 위해 마련한 ON-Line 프로그램에는 오늘날 예술이 사유하는 자연과 사회, 과학기술과 인간과의 관계를 예술가, 연구자, 과학자의 강연으로 구성한 온라인 렉처 시리즈한국 전통예술인 '굿'과 현대적 미디어인 프로젝션 맵핑을 결합한 퍼포먼스 <비손(Two Hands)>, 새로운 예술감상을 실험하는 온라인 기반의 전시장 <제3의 정원(Third Garden)>, '서울'이라는 도시를 이방인의 시선에서 관찰한 3D 아카이빙 공간 서울의 정원<서울의 정원(Seoul Garden)>으로 구성했습니다. 또한, 현장 기반인 OFF-Line 프로그램에는 현재 화두가 되고 있는, '웹(WEB)' 기반의 창작 방법을 배워보고자 <웹-가드닝> 워크숍을 준비했습니다. 

Program 1. 온라인 렉처 시리즈 <서드라이프의 정원>

제 3의 정원으로, Journey into the Third Life

온라인 렉처 시리즈 <서드라이프의 정원>는 오늘날 기술 기반의 문화와 사회에서 인간이 봉착한 전 지구적 문제에 관해 '자연-공동체-서드라이프'를 중심으로 주요 담론을 공유하고자 <인간과 자연>, <인간과 지역 공동체>, <인간과 테크놀로지>의 3가지 섹션, 총 10개 강연으로 구성하였다. 철학, 과학사, 문화사회학, 예술,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전문가의 강연을 통해 미래의 '서드라이프'를  맞이하여 새로운 '정원(지구 공동체)'을 가꾸는 방식를 모색한다. 

    • 마틴 혼직(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 디렉터)
    • 김봉렬(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 이동연(한국예술종합학교 기획처장)
    • 조충연(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장, 영상원 멀티미디어영상학과 교수)
    • 전혜현(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융합학부 교수, 2019 다빈치 크리에이티브: 리빙 라이프 예술감독)
    • 박범순(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장)
    • 이소요(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강사)
    • 심한별(서울대학교 아시아도시사회센터 선임연구원)
    • 박은선(리슨투더시티 디렉터)
    • 강현석(SGHS 설계회사 소장, <TVPR-투발루 프로젝트> 저자)
    • 이동연(한예종 기획처장,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
    • 이광석(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교수)
    • 유원준(영남대학교 미술학부 트랜스아트전공 교수)
    • 조충연(한예종 융합예술센터장, 영상원 멀티미디어영상학과 교수)

Program 2. 전통예술+미디어 퍼포먼스 <비손(Two Hands)>

미래의 기술은 과연 인간의 마음과 영혼을 지배할 수 있는가?

퍼포먼스 <비손(Two Hands)>은 한국 전통예술인 '굿'과 현대적 미디어인 프로젝션 맵핑을 결합한 퍼포먼스로, 이번 페스티벌에서 '미래 기술은 과연 인간의 마음과 영혼을 지배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예술감독인 유경화(전통예술원 타악전공 교수)는 기술과 정신의 연관성을 탐구한 로이 애스콧의 테크노에틱 아츠(Technoetic Arts)에서 영감을 받아, 영적 체험이 기술의 한계를 넓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집중 조명하고자 한다.

  • 예술감독 : 유경화(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타악전공 교수)
  • 영상감독 : 조풍연(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멀티미디어영상과 교수)
  • 뉴미디어 감독 : 김성욱(미디어 아티스트)
  • 연주자 
    • 장구, 철현금 : 유경화
    • 콘트라베이스 : JC Curve
    • 신스, 사운드 디자인 : 김지현
    • 굿 : 박범태, 박성훈

Program 3. 가상으로의 여행 <제3의 정원>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가상과 현실이 중첩되는 '서드라이프'에서 우리는 어떤 정원(창작 환경)을 만드는 정원사(창작자)가 될 수 있을까?

<제 3의 정원(Third Garden)>은 디지털 미디어가 깊숙이 침투한 한국 사회의 문화적 환경을 바탕으로, 새로운 예술감상을 실험하는 온라인 웹 기반의 전시장이다. 20세기 이후, 상호작용이 가능한 미디어의 발달로 새로운 환경에서의 예술 창작은 큰 화두였다. 특히, 올해 2020년도에는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우리에게는 새로운 예술 창작과 관람 환경에 대한 갑작스런 숙제가 주어졌다. 이에 대한 예술가들의 고민과 연구 과정, 실험들을 한자리에 모으고자 <제 3의 정원>을 구성하였다. <제 3의 정원>은 모바일 기반으로 증강현실(AR) 전시장으로, 모바일을 통해서 보이는 현실 공간 이미지와 중첩된 가상 3D오브제를 통해 펼쳐지는 전시장에서 각 예술가들의 작품을 관람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QR 또는 도메인을 통해 제 3의 정원에 접속한 관객은 잠재적 정원사로서 초대된다.

    • [지도 : 조충연] 프로젝트 원(이정호, 황유채, 남지선, 주현준), 쥬시 모스키토(차연서, 조영명, 김은준), F(J)=X(이정아, 주다은, 박민정)
    • [지도 : 김영주] 윤현정, 주다은, Ysol, 강채연, 양다현, 임현지, 김소현
*본 전시장은 모바일에 최적화된 AR전시장 입니다. 모바일 웹브라우저를 통해 감상하세요!*PC 웹브라우저로 접근할 시에는 방향키(↓→↑←)로 이동하고, 가운데에 있는 링(◎)을 오브제에 맞춰 'Click'하면 작품으로 연결됩니다. 

Program 4. 일상으로의 여행 <서울의 정원>

Green City, Seoul

<서울의 정원>은 독일에서 온 교환학생인 아이샤의 시선으로 조망한 2020년 6월, 서울의 모습을 기록한 사진과 인터뷰로 구성된 가상 공간이다. 아이샤는 서울안에 조성되어 있는 여러가지 크고 작은 정원들을 조사하면서 만난 풍경과 사람들과의 대화를 '모질라 허브(Mozilla Hubs)'를 기반으로 구성한 가상 공간안에 본인의 관점으로 재조성하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작은 공간이라도 활용하여 자신만의 정원을 꾸민 서울 건물, 주택가의 모습을 흥미로운 관점에서 관찰하기 시작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우리가 콘크리트의 회색 도시로만 인식하던 서울의 모습을 이방인의 시선에서 녹색도시로서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한 프로젝트이다. 

https://thirdgarden.space/seoulgarden

  • 아이샤 누미 스티프 (크리에이터, 리서처)
  • 이수빈 (어시스턴트 리서처)
  • 코넬리우스 허싱 (3D 모델링 개발자)

Program 5. 워크숍 <웹-가드닝>

<웹-가드닝>은 나만의 웹 기반 정원을 스스로 창작해보는 워크숍 프로그램이다. 워크숍은 웹에 대한 기초, Web-VR기반으로한 가상 공간 전시장 제작, 웹에서의 사운드를 만들어보는 <웹-가드닝>과 대표적인 디지털 기반의 상호작용 매체인 '게임'에 대해 알아보고, 웹 기반의 게임 제작툴을 이용하여 쉽게 게임을 만들어보는 <플레이플-가드닝>으로 구성하였다. 

    • 민구홍(<새로운 질서> 저자, 웹 디자이너)
    • 박동준(VR 미디어 아티스트)
    • 이원우(미디어 아티스트, 작곡가)
    • 허대찬(앨리스온 디렉터)
    • 김영주(게임디자이너, 미디어 아티스트)
    • 김은지(미디어 아티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