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러닝 2020 : Teaching Game>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는 동시대 미디어의 사회적 담론과 창작 환경 교육을 통해 기존의 창작 방법론을 넘어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을 독려하고자 예술과 기술(Art & Technology)의 융합을 다루는 교육 프로그램 ‘팀러닝’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매 학기 진행되는 팀러닝은 다양한 분야의 강사들과 함께하는 강연, 기술 워크숍, 프로젝트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여자들은 오픈 소스(open source)와 공유(sharing)를 바탕으로 '협업(co-working)'을 통해 공동 창작(팀 프로젝트)을 실천합니다.

2020년도 1학기에 진행하는 <팀러닝 2020 : Teaching Game>은 상호작용성이 강조된 창작에 활용 가능한 기술의 기초 탐색(블록 코딩, 초보자 환영), 인공지능(AI)과 머신 티칭(machine teaching), 인간과 기계의 인식에 대한 차이를 다루고자 합니다. 팀러닝의 전반부인 강연과 워크숍에서는 ‘동시대의 사회적, 기술적 알고리즘으로써의 데이터’, ‘지능형 기계는 어떻게 학습하고 어떻게 우리의 관념과 연결되는가?’를 알아보고, ‘*엠블록(mblock)을 이용한 머신 티칭(machine teaching) 실습을 통해 앎을 탄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조건을 탐색’해 봅니다. 팀러닝의 후반부인 프로젝트팀 활동에서는 참여자들이 팀을 구성하여 인간과 기계의 인식을 주제로 멘토단(강연, 워크숍 강사)과 함께 스크린 베이스 인터랙션(screen based interaction) 작품을 만들어 봅니다.

팀러닝은 한예종 예술사 재학생의 경우 예술교양학부의 '예술참여 프로젝트' 사후 수강 신청을 통해 1학점이 인정됩니다. 오픈 소스와 공유, 예술가의 공동 창작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분야에 대한 도전의 장을 만들고자 하는 융합예술센터 교육 프로그램 <팀러닝 2020 : Teaching Game>에 관심 있는 재학생 여러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mblock : https://www.mblock.cc/

개요

⦁ 기간 : 2020. 4. 22.(수) ~ 6. 24.(수), 총 10회, 매주 수요일 오후 6:00 ~ 9:00

※ 코로나-19로 인한 수업 일정이나 수업 방법의 변경이 있을 수 있음

⦁ 장소 : 한국예술종합학교 융합예술센터(창조관 213호, http://naver.me/GjaN3M0u)

⦁ 강사

- 강 연 : 언메이크랩 – 송수연, 최빛나(미디어 아티스트)

- 워크숍 : 황주선(미디어 아티스트, 메이커)

⦁ 대상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전문사 재학생

※ 예술사의 경우, 예술교양학부 ‘예술참여 프로젝트’ 사후 수강신청으로 1학점 이수 가능

⦁ 참가인원 : 총 10명, 선정자 개별 연락

⦁ 참가비 : 무료

⦁ 교육준비물 : 개인 노트북(필수)

※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도구 등 제공(과정 종료 후 반납)

⦁ 신청기간 : 2020. 4. 7.(화) ~ 4. 14.(화)

⦁ 참가신청 및 워크숍 소개 바로가기 : https://forms.gle/AFtd5vnerqswHcSn9

※ 제출서류 : 간략한 자기 소개, 지원 동기, 기술 숙련도 조사 (신청서에서 작성)


세부 내용

⦁ 교육 목표

[동시대 미디어의 사회적 담론과 기술 사용법 이해]

- 오픈소스(open source), 코딩(coding),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 등 동시대 제작 문화와 연결된 인터랙티브 미디어(interactive media) 작품 제작 사례에 대한 리서치와 토론을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능력 함양

- 블록 코딩(block coding)을 실습을 통해 예술에 있어 상호작용성이 강조된 창작에 활용 가능한 기술의 기초 탐색

[인공지능과 머신 티칭의 이해]

- 지능형 기계의 학습과 인식에 대한 이해

- 머신 티칭(machine teaching) 실습을 통해 인공지능(AI)에 대한 이해 및 인간과 기계의 인식에 대한 차이 이해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의 이해]

- 프로젝트 활동에서 제시된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creative problem solving)을 통한 문제 선정, 해결 방안 도출, 결과 발표을 통해 창작의 과정에 대한 설명 방법과 예술이 사회에 접근하는 방법 습득

[프로젝트팀 활동을 통해 협업과 공동 창작, 공동 자산의 범위와 한계 이해]

- 사회문제를 다루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프로젝트 활동을 위한 협업

- 공동 창작에 있어 소통, 공유, 효율을 위한 애자일(agile) 기반 협업툴 사용(트렐로 (https://trello.com/), 원노트(one note) 등)

- 공유(sharing)의 이해와 공유 사이트 사용(엠블록 https://planet.mblock.cc, 인스트럭터블스 http://www.instructables.com/)


⦁ 구성 (더 자세한 내용은 트렐로 보드 참고 : https://trello.com/b/t8LhPOa6)

[1회 차 / 4. 22.(수), 18:00 ~ 21:00] O.T & 강연(언메이크랩)

- O.T(18:00 ~ 19:00) : 수업 구성 및 진행 일정, 프로젝트팀 활동 설명 / 해시테그 드로잉(과제)

- 강연(19:00 ~ 21:00) : 확율 현실

[2회 차 / 4. 29.(수), 18:00 ~ 21:00] 프로젝트팀 빌딩 & 강연(언메이크랩)

- 프로젝트팀 빌딩(18:00 ~ 19:00) : 해시테그 드로잉을 바탕으로 공감대 형성과 프로젝트팀 구성

- 강연(19:00 ~ 21:00) : 인공 시점

[3회 차 / 5. 6.(수), 18:00 ~ 21:00] 기술 워크숍(황주선)

- 블록 코팅으로 시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입문

[4회 차 / 5. 13.(수), 18:00 ~ 21:00] 기술 워크숍(황주선)

- 머신 티칭과 앎의 탄생

[5회 차 / 5. 20.(수), 18:00 ~ 21:00] 기술 워크숍(황주선)

- 나쁜 기계 만들기

[6회 차 / 5. 27.(수), 18:00 ~ 21:00] 프로젝트팀 활동 1(멘토단)

-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CPS)과 브레인 스토밍 진행 과정 소개

- 작업 구현 계획(아이디어 만들기)과 작업 계획 발표 준비

[7회 차 / 6. 3.(수), 18:00 ~ 21:00] 프로젝트팀 활동 2(멘토단)

- 팀별 작업 계획 정리와 발표

- 멘토단의 피드백을 반영한 작업 계획 수정과 제작 계획 구체화

[8회 차 / 6. 10.(수), 18:00 ~ 21:00] 프로젝트팀 활동 3(멘토단)

- 작업 진행(기술적 구현과 멘토링) 1

[9회 차 / 6. 17.(수), 18:00 ~ 21:00] 프로젝트팀 활동 4(멘토단)

- 작업 진행(기술적 구현과 멘토링) 2

[10회 차 / 6. 24.(수), 18:00 ~ 21:00] 프로젝트팀 활동 5(멘토단)

- 팀별 작업 결과 발표와 데모

- 공동 작업 제작 과정 공유와 결과 제출